• 최종편집 2025-01-26(일)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4.12.19 09:14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4027444_737688_1026.jpg
박용선 경북도의원

 

 

청년은 단순히 미래를 준비하는 대상이 아니다. 오늘날 지역과 국가의 성장 동력이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끌 주역이다.

하지만 급격한 저출산·고령화, 수도권 집중화, 지방소멸 등의 문제로 인해 청년 인구는 꾸준히 줄고 있으며, 이는 단순한 통계적 수치가 아니라 지역의 허리가 꺾이는 위기 상황을 의미한다.

경북도는 이러한 위기 속에서 청년이 지역에 뿌리내리고, 자기 삶과 꿈을 설계할 수 있도록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청년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청년 정책은 단순한 복지적 지원이 아니라, 청년이 자율적이고 능동적으로 지역과 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

경북도가 지역 정착과 안정적인 생활 기반 마련을 중심으로 다양한 청년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청년은 더 이상 단순히 도움을 받아야 할 ‘취약계층’으로 대상화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꼭 당부하고 싶다.

우선 청년의 삶을 중심에 둔 정책의 설계가 필요하다. 청년 정책은 청년을 시장 경쟁력을 키워줘야 할 대상으로 바라보는 관점에서 벗어나야 한다.

청년은 단순히 경제 활동의 주체가 아니라, 지역사회와 공동체의 구성원이자 창의적 변화를 이끄는 주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청년 개개인의 가치와 다양성을 존중하는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

여기에 더해 무엇보다 청년의 목소리가 반영되는 정책이 필요하다. 청년이 정책 설계와 실행의 주체로 참여할 수 있는 구조가 필수적이어야 한다.

또한 일자리와 삶의 질을 함께 고려한 정책도 필요하다. 일자리 정책은 단순히 경제적 필요를 채우는 데 그치지 않고, 청년의 자아실현과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해야 한다.

지역 특성을 반영한 고용 기회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은 청년의 정착 가능성을 높이는 가장 기본적인 조건이다. 여기에 안정적인 주거환경, 건강한 사회적 관계망을 더해 청년이 지역에서 삶의 기반을 다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청년 정책은 단기적인 대책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장기적인 비전과 연결되어야 한다. 지역 맞춤형 청년 정책의 모범 사례를 만들고, 이를 통해 대한민국 지방시대를 선도할 수 있어야 한다.

19세기 영국의 정치가 디즈레일리는 “한 국가의 청년은 국가 번영의 관재인(管財人)이다”라고 말했다. 경북의 번영 역시 청년이 견고히 중심을 잡을 때 가능해진다.

청년 정책이 청년의 삶을 개선하고 지역의 성장을 이끄는 데 이바지하려면, 청년의 삶을 관찰하고 청년의 목소리를 경청하며 청년의 참여를 보장해야 한다.

더 나아가 청년이 스스로 미래를 설계하고, 지역의 주체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청년 정책이다. ‘청년 없는 청년 정책’의 반복은 더 이상 용납될 수 없다. 이는 청년들에게 기대를 안기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실망을 안길 뿐이기 때문이다.

청년 정책은 지역의 생존과 지속 가능성을 위한 필수 조건이다. 단순히 청년에게 도움을 주는 시혜적 접근에서 벗어나, 청년이 지역의 성장과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주체로 인정받고,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이제 청년의 꿈이 경북의 미래가 될 수 있도록, 청년 정책은 더욱 섬세하고 실질적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지금 필요한 것은 청년을 위한, 청년에 의한, 청년과 함께하는 정책이 분명하다.

경북은 청년과 함께 성장하며, 그들만의 이야기가 담긴 미래를 우리가 모두 ‘함께’ 만들어야 한다.

태그

전체댓글 0

  • 28134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청년이 주인공인 청년 정책의 방향과 실행을 위한 당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